Fastly_CDN/CDN_설정

패스틀리(Fastly), UI에서 국가별 IP(GeoIP)차단 설정

CDN_SKY 2022. 5. 24. 15:39

 안녕하세요. 지난번 포스트에서는 Fiddle을 사용해서 어떤 식으로 국가별  IP차단 설정을 테스트 할 수 있는지 소개해 드렸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실제로 UI에 설정을 하는 방법에 대해서 안내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지난번 Fiddle에 설정한 내용을 그대로 UI에 옮기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아주 간단합니다. 먼저 https://fiddle.fastlydemo.net/fiddle/d8ed7933 URL에 들어가셔서 이미 설정된 코드들을 확인합니다.

 

1. 먼저 INIT subroutine에 설정되어 있는 Dictionaries를 설정하겠습니다. 아래의 그림과 같이 Dictonaries메뉴를 선택해 주시고, Create your first dictonary를 클릭해 주세요.

2. 그리고 아래와 같이 geoip_block이라는 이름으로 Dictionaries를 만들어 줍니다. Dictionaries Name은 VCL code내에서 데이터를 호출시에 참고하게 되므로 정확하게 입력해주셔야 합니다. 혹은 해당 이름을 변경하실 경우에는 관련 VCL code에서도 같이 변경을 해주셔야 합니다.

3. Key와 Value를 입력해 줍니다. Key는 GeoIP Country Code, Value에는 blocked라고 입력해 줍니다. 입력을 완료하고 Add 버튼을 클릭하면 새로운 데이터가 입력됩니다.

4. 다음은 Recv Subroutine에 코드를 설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와 같이 새로운 VCL snippet을 하나 만들고 해당 코드를 입력해 줘서 Snippet을 생성합니다.

5.  다음은 Error Subroutine에 코드를 설정하도록 하겠습니다. Error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새로운 VCL Snippet을 만들고 관련 코드를 입력해줘서 Snippet을 생성합니다.

6.  상기의 설정을 모두 마치신 후 작업한 Version을 Activate하시면 설정된 국가의 IP로 부터의 요청은 거부되서 Error에 설정된 Page를 유저에게 표시하게 합니다. UI에서 설정을 변경할 경우 기본적으로는 Draft버젼을 만들고 작업이 끝나면 Activate시켜야 하지만 Dictionaries의 데이터의 기존 Value를 변경하거나 혹은 새로운 Key / Value를 입력할 시에는 Draft버젼을 만들필요 없이 Live로 작업이 가능합니다. 그래서 새로운 국가코드의 제한이 필요하다던가 기존 Block하던 국가코드를 접속가능하게 변경하게 하는 작업이 필요할 시에 바로 Dictonaries메뉴에서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에 또 다른 Posting으로 찾아 뵙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