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시간에 Settings의 설정 항목 중의 하나인 IP block list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를 해 드렸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Settings안에 있는 그 외의 설정 항목들의 용도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을 드려볼려고 합니다.
Settings 안에는 IP Block List이외에 아래의 그림과 같이 Override host 등의 메뉴가 존재합니다.
1. Override Host
- 일반적으로 Host header는 유저가 리퀘스트는 하는 도메인 이름으로 전송되고, 해당 Host header가 오리진까지 전달되게 됩니다. 기본적으로 Origin에서 받아들일 수 있는 Host Header가 유저가 요청한 것과 동일하다면 해당 설정은 필요가 없지만, 운영 상의 이유라던가의 이슈로 Origin 에서 받아 들일 수 있는 Host header를 다른 이름으로 설정해 줘야 할 때 사용되는 메뉴입니다. 예를들면 유저가 요청한 host header가 www.abc.com 이였을 때, Override host header가 www.foo.com 이면 Fastly Edge는 받아 들인 Host header를 www.foo.com 으로 Override해서 오리진으로 전달합니다. 참고로 해당 설정은 전역 설정이므로 복수의 Origin을 한 서비스에서 운영 중이고, Origin마다 별도의 Host header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사용하면 안됩니다. (Origins -> Hosts에 설정한 Host에 직접 Override host를 할 수 있는 메뉴가 있습니다.)
2. Serve stale content on origin failure
- 이 기능은 Origin에 장애가 발생하여서 50X response를 발생시키고 있을 때에 오리진이 정상적으로 응답할 때까지 "Stale" 콘텐츠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는 기능입니다. 기본적으로 43200 sec(12시간) 으로 설정됩니다.
3. Force TLS and enable HSTS
이름 그대로 강제로 TLS로 연결시키 주는 기능입니다. 사용자가 최초로 사이트에 접속시도를 하게 되면 웹서버는 HSTS 설정에 대한 정보를 브라우저에게 응답하게 됩니다. 브라우저는 이 응답을 근거로 일정시간 (max-age) 동안 HSTS 응답을 받은 웹사이트에 대해서 https 접속을 강제화 하게 됩니다.
4. Fallback TTL
정보가 캐시 메모리에 보존 될 수있는 시간은 "수명"또는 TTL로 간주됩니다. TTL은 원본 서버에서 반환 된 캐시 관련 헤더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됩니다. 객체에 대한 캐시 관련 헤더가없는 경우 대체 TTL ( "기본 TTL"이라고도 함)을 구체적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5. Redirect traffic to www subdomains
Apex domain(Sub domain이 없는) 으로 요청이 들어올 경우 강제로 www subdomain으로 리다이렉트 시켜주는 기능입니다.
6. Request settings
Request Settings는 Fastly의 요청 처리를 사용자 정의하는 데 사용됩니다. 조건과 함께 사용하면 요청 설정을 사용하여 특정 유형의 요청이 처리되는 방식을 미세 조정할 수 있습니다. 다음 블로그에서 상세 설정에 대해서 안내해 보고자 합니다.
7. Cache settings
- Cache settings는 Fastly에서 캐싱이 수행되는 방식을 제어합니다. 조건과 함께 사용하면 캐시 설정을 통해 콘텐츠가 캐시에 유지되는 기간을 세밀하게 제어 할 수 있습니다.
마치며
이번 글에서는 Settings에 있는 메뉴들의 기능에 대해서 살펴 보았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Setting에 있는 Request Setting과 Cache Setting의 설정 예에 대해서 안내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Fastly_CDN > CDN_설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스틀리(Fastly) 로깅(Logging) 설정 (0) | 2021.10.31 |
---|---|
패스틀리(Fastly) Content 메뉴의 세부 항목에 대해서 (0) | 2021.09.30 |
패스틀리(Fastly) 원치 않는 IP의 접속을 차단 하는 IP block list 설정 (0) | 2021.08.31 |
패스틀리(Fastly) CDN의 오리진 상세설정에 대해서 (0) | 2021.08.19 |
무료로 패스틀리(Fastly) CDN서비스를 시작해 보자! (0) | 2021.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