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N 서비스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가장 중시하는 서비스 포인트 중의 하나가 바로 로그 제공 유무일 것입니다. CDN 서비스를 사용하게 되면 모든 유저들로 부터의 리퀘스트는 CDN Edge 서버가 받게 되므로, 고객의 오리진 서버에 남게 되는 것은 CDN Edge 서버로 부터 보내진 요청에 대한 로그 뿐입니다. 웹 서비스 제공자로 써는 유저들의 접속 로그는 분석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황금과 같은 정보이므로 당연히 제공 되기를 원합니다. 패스틀리(Fastly)에서는 고객의 로그를 보존하지 않는 정책을 가지고 있지만, 고객이 원하는 Endpoint에 로그를 전송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예를들면 FTP, SFTP 라던가 Google Bigquery, Amazon A3, Azure까지 고객이 사용하길 원하는 곳으로 로그를 전송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저는 제가 무료로 사용중인 (기능에 제한이 있습니다.) Papertrail을 Logging Endpoint로 지정해서 설정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Fastly에서 지원되는 logging Endpoint에 대해서는 아래 document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https://docs.fastly.com/en/guides/integrations#_logging-endpoints)
자신이 설정하고 싶은 logging Endpoint를 지정하고 Create Endpoint를 클릭해 주면 위와 같은 각 Endpoint에 필요한 설정화면이 나옵니다. 설정 화면에 들어가면 각 Endpoint 설정에 필요한 참고 URL들도 친절하게 표시되어 있으니 참고 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Fastly logging 관련 Documents는 https://docs.fastly.com/en/guides/diagnostics#_streaming-logs 를 참고 부탁드립니다.)
위와 같이 설정에 필요한 기본정보를 입력하고 Create를 누르기만 하면 간단하게 설정이 가능합니다. Log format 에서는 Default로 입력이 되어 있으며 Client IP, Host, User-agent값등을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Log format은 당연히 사용자의 요구에 맞춰서 변경할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https://docs.fastly.com/en/guides/custom-log-formats 를 참고하시길 부탁드립니다.
결과물은 아래와 같습니다.
Oct 31 16:21:39 cache-tyo11974 My_log { "timestamp": "2021-10-31T07:21:37+0000", "client_ip": "1.1.1.1", "geo_country": "South Korea", "geo_city": "Seoul", "host": "myfirstcdn.global.ssl.fastly.net", "url": "/", "request_method": "GET", "request_protocol": "HTTP/1.1", "request_referer": "", "request_user_agent": "Mozilla/5.0 (Macintosh; Intel Mac OS X 10.15; rv:93.0) Gecko/20100101 Firefox/93.0", "response_state": "PASS", "response_status": 200, "response_reason": "OK", "response_body_size": 9593, "fastly_server": "cache-tyo11974-TYO", "fastly_is_edge": true } |
마치며
패스틀리(Fastly)에서는 서비스 사용자의 가장 소중한 재산 중의 하나인 Log에 대해서 사용자의 환경 및 요구에 맞춰서 다양하게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유저의 log가 더욱 많은 분야를 위해서 활용되는 요즘 같은 시대에는 꼭 필요한 서비스라고 생각되며,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환경을 골라서 Log분석에 활용 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의미있는 기능이라고 생각됩니다.
'Fastly_CDN > CDN_설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스틀리(Fastly), Origin Load Balancing 설정 (0) | 2022.01.28 |
---|---|
패스틀리(Fastly) VCL Snippets 메뉴에 대해서 (0) | 2021.11.26 |
패스틀리(Fastly) Content 메뉴의 세부 항목에 대해서 (0) | 2021.09.30 |
패스틀리(Fastly) Settings 의 세부 설정 항목에 대해서 (0) | 2021.09.24 |
패스틀리(Fastly) 원치 않는 IP의 접속을 차단 하는 IP block list 설정 (0) | 2021.08.31 |